2023-02-18
인테리픽 기술면접 후기...
정말...
본인을 담당하게 된 멘토님에 따라 질문이 엄청 많이 바뀌는 거 같다...
이는 결국 이러한 모의면접 말고도 회사에따라 면접이 전부 다 다르게 나올 것 같은데 내가 만나게 된 면접관님은 굉장히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을 해주셨고 나같은 경우에는 CS 면접보다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알아보려는 성향이 더 강했었다.
그래서 실제로도 CS 기술 질문은 4~5개 정도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장큰 문제는...
이를 녹화해서 내가 어떻게 답변했는지를 봐야 하는데 영상으로 녹화를 하면서 내 마이크는 녹화에 안들어간 것을 몰랐다... 게다가 심지어 처음 두개의 질문은 녹화도 늦게 시작해버렸다...
물론 사이트에서 피드백을 또 주시기는 하지만 녹화본에서 내가 어떻게 답했는지 표정은 어땠는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원분들과 함께 대화하면서 상세하게 준비하고 싶은데 이를 못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하...
아마도 시작은 이전 직업이 어떤 일을 했는지에 대한 질문 이었고 이에 대한 내 답변은 어떠한 경험이 있었다 이런것이 아니라 그냥 말 그대로 이런 일을 했다고만 대답을 했었다.
그래서 이 이후 들어온 질문이...
그 때의 경험이 개발자로 활동하는데 도움이 되거나 습관을 만들어 줬다거나 하는 그러한 것들이 있을까요?
나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7~8년 이라는 시간이 결코 짧지는 않기 때문에 이 기간동안 정말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겪어봤다.
그래서 이를 통해서 처음 보는 사람들과의 협업에서 소통에 있어서 좀 더 자연스럽게 할 수 있었다.
라는 식으로 답을 했던 것 같다...
7~8 년이나 근무했으면 직종을 전환하는 것 쉬운 결정은 아니었을거 같은데 어떤 매력을 느껴서 개발자로 전향하려고 마음을 먹으신건가요?
정말 솔직하게 말하자면 우연히 였습니다.
내가 몸담은 금형업계는 사출금형으로 주로 핸드폰 금형 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곳에서 오랜기간 일을 하면서 어지간한 일들은 다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보니 굉장히 삶에 있어서는 편안했습니다.
하지만 편안함을 느끼게 되니까 동시에 일이 재미가 없고 핸드폰 사출금형 업계가 원채 사양되는 산업이기도 하고 실제로 제가 일하던 회사가 삼성 하청 이었는데 여기서 받아오는 일거리도 줄고 회사 선배 사수분들도 회사를 나가더라구요.
그러던 차에 우연히 광고를 통해 접한 항해99 를 보고 "아, 나같은 완전 비전공자도 가능하구나" 라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지원해서 시작해서 첫 프로젝트를 했을 때, 처음보는 사람들과 협업하는 것이 너무 즐겁고 서로가 짠 코드를 보면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면서 서로가 성장의 자극제가 되어서 성장하는 이 과정이 너무 즐거웠습니다.
그렇게 항해99 를 수료하고 이제 저한테 부족한 지식들을 채워가면서 취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 여러가지 찾아보고 공부를 많이 하셨을 것 같은 혼자서 공부는 어떻게 진행하시는 편인가요?
아무래도 이쪽에 대해서 아예 연관이 없고 더욱이 비전공이여서 너무 기초적인 지식들에 있어서 많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지금은 프로그래머스의 자바 강의를 듣고 또 책으로 별도로 공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가 사용한 스프링부트의 기반인 자바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또는 CS 지식도 많이 부족해서 목터뷰를 중심으로 우선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진행하신 프로젝트에 대해서.. 눈치코치캐치 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셨어요. 여기에 적어주신 부분들은 본인이 주도적으로 진행한 부분을 적어 주셨나요?
유저정보를 받아서 모듈화 했다는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기존에 회원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에서는 매개변수인 Httpservletrequest 를 통해서 값을 받아오는데 비회원의 경우에는 문자열로 받아오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되면 유저정보를 관련해서 가져오는 매개변수가 두종류가 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하나의 API 를 호출하는 것으로 해결이 되게 했습니다.
레디스를 활용해서 비회원 정보관리를 하셨다고 했는데 이게 기존에는 어떻게 관리하셨고 그게 어떻게 불편해서 레디스쪽으로 이제 넘기신 건가요?
만약에 비회원들의 전체 리스트를 뽑아야 되는 작업이 있다면 어떻게 뽑으실 건가요?
방 정보를 가져오는데 SSE 를 사용하셨는데 웹 소켓을 쓸 수도 있었는데 SSE를 사용하시는 이유는 뭔가요?
스택과 큐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그러면 이제 어떤 기능을 구현할 때 스펙이나 큐의 자료 구조로 활용한다면 어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까요?
인덱스가 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데이터베이스에서 이 원리도 혹시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에 대해서 설명을 해 주실래요?
마지막으로 앞으로 어떤 개발자가 되시고 싶으신지를 듣고 싶습니다.
처음에는 기억나는대로 적었었는데, 이 글은 이대로 남겨놓고 면접 스터디가 끝나는대로 생각 해서 적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