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사실상 Redis 는 끝을 내고 오늘 만큼은 리팩토링의 시간이었다...
그러던 와중에 새롭게 알게된 사실 몇가지만 끄적여 볼까 한다...
프론트와 값을 주고 받던 중에 발생한 문제인데, 분명 boolean 값을 프론트로 보내줄 때 백에서는 readyStatus 라는 이름으로 보내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프론트에서 이 값을 response 로 받았을 때, 변수명이 is 로 시작해서 넘어가야 하는데 is가 생략되어서 넘어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를 검색을 해서 알아보니...
Spring Boot 에서는 Response 시 자바 객체를 Jackson Library 를 이용하여 json 으로 매핑하여 반환하기 때문에 정확히는 jackson 의 특징이 원인이 되는것 같다는 글을 발견했다.
그래서 해결법이 두가지 였던 것 같은데... 선택하게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래퍼클래스 Boolean 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기본타입의 boolean 을 Boolean Class Type 으로 수정함으로써 해결이 되었다 !!!
이것 때문에 프론트에서 is 를 생략한 값이 넘어와서 헤매었었는데, 다행히도 조원분께서 발견해주신 덕분에 무사히 해결..
참고한 블로그 링크
Jackson에서 Boolean 직렬화 시 is가 사라지는 문제
Swagger에서 JSON Request Body를 보는데 DTO랑 이름이 달라요! 발단 여느때와 다름없이 조용히 회사에서 개발을 하고 있는 도중, Swagger로 API 테스트를 위해 요청을 보내는데 debug에서 객체를 보았을 때,
maxjang.com
[Spring] Response json에서 boolean의 is가 생략되는 문제
Response json에서 boolean의 is가 생략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gimquokka.github.io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1-21 (0) | 2023.01.21 |
---|---|
2023-01-20 (0) | 2023.01.20 |
2023-01-18 (0) | 2023.01.18 |
2023-01-17 (0) | 2023.01.17 |
2023-01-16 (0) | 2023.01.16 |